Korea Herald Editorial 17/12/6 14면
Out of touch 현실과 동떨어져
There are many laws that do not fit the reality. Education is no exception, with the controversial act on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and regulation of prior learning being a good example.
현실과 맞지 않는 법은 많이 있다. 교육도 예외가 아니며 공교육 정상화와 선행학습 규제와 관련해 논란이 되고 있는 법이 좋은 예시가 되고 있다.
be no exception : 예외가 아니x`다 normalization : 표준화, 정상화
===
The act, which took effect in 2014 mainly to curb private tutoring that imposes heavy study burdens on students and financial burdens on parents, came into the spotlight recently due to its ban on some after-school English classes.
학생들에게 과도한 학업 부담과 부모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는 사교육을 막기 위해 2014년에 시행된 법이 최근 일부 방과후 영어교실 금지조치로 인해 주목을 받게 됐다.
curb : (특히 좋지 못한 것을) 억제[제한]하다
===
English education in elecmentary school now begins in third-grade and providing first- and second-graders with English classes violates the act on prior learning.
초등학교 영어교육은 현재 3학년부터 시작되며 1,2학년생에게 영어수업을 하는 것은 선행학습 관련 법을 위반하는 것이다.
violate:(법합의 등을)위반하다[어기다]
===
But at the time when the act took effect, many first- and second-graders had already been taking English classes provided as part of the after-school education programs.
그러나 이 법이 시행될 당시에는 방과후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대다수 1,2학년생들이 이미 영어수업을 받고 있었다.
after-school education programs : 방과후교육 프로그램
===
Parents protested against the ban, arguing that it would only force them to send theri children to the more expensive private academies. The Education Ministry gave in, and added a special provision to the act to retain the English classes for the first-and second-graders. But the ministry made a big mistake: it set the provision to expire in three years.
학부모들은 이러한 금지 조치에 반대하며 자녀들을 비싼 사설학원으로 보낼 수 밖에 없게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교육부는 이를 받아들여 1,2학년에 대한 영어수업을 유지하기 위해 이 법에 특별조항을 추가했다. 그러나 교육부는 이 특별조항항의 시한을 3년으로 정하면서 큰 실수를 했다.
retain : (계속) 유지[보유]하다
===
The ministry said now that the three-year moratorium is over, all after-school English classes for grades one and two will be banned from March. Ministry officials base their decision on the argument that the English classes have little effect in enhancing students' English skills and that it goes against the ban on prior learning.
교육부는 3년 유예조치가 끝나면 1,2학년 대상 모든 방과후 영어수업이 3월부터 금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 관계자들은 자신들의 결정 근거를, 영어수업이 학생들의 영어 능력 강화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선행학습 금지 조치에 반하는 것이라는 주장에 두고 있다.
moratorium : (공정 합의에 의한) 활동 중단; 지불 유예[정지]
===
This is yet another case of bureaucratic rigidity.
관료적 경직성
You don't need be an expert to find that the past three years has changed nothing when it comes to the English education of young students.
이는 관료적 경직성의 또 하나의 사례다. 여러분이 어린 학생들의 영어교육에 관해 지난 3년 간 전혀 달라진 것이 없을을 알기 위해 전문가가 될 필요는 없다.
(A) portrayed(B) admitted(C) introduced(D) presented
해석 :지역 사회 개선에 공헌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그 기업은 지역 내의 자격 있는 학생들 몇 명에게 대학 장학금을 수여했다.
해설 :동사 어휘 문제‘그 기업은 학생들 몇 명에게 장학금을 수여했다’라는 문맥이 되어야 하므로 ‘수여하다, 주다’라는 뜻의 동사 (D) presented가 정답이다. 참고로 (A)의 portray는 ‘묘사하다, 표현하다’, (B)의 admit은 ‘인정하다, 시인하다’, (C)의 introduce는 ‘소개하다, 진행하다’라는 의미임을 알아둔다.
어휘 :contribute to ~에 공헌하다, 기여하다 betterment 개선, 향상 corporation 기업, 회사 deserving 자격이 있는, 공로가 있는 locale 지역, 장소 scholarship 장학금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리아 타임즈 영한_SIWON SCHOOL SPA 35+ (0) | 2020.11.29 |
---|---|
A형의 영어회화 EBS 김태연의 실전스피킹 핵심전략-패턴편 1.하려던 일 표현 I was about to V, Do you have time to V?, Do you want me to V? (0) | 2020.09.02 |
완전절친 SPA (0) | 2020.06.26 |
10분 핵심 공략 SPA 고급 (0) | 2020.06.19 |
SPA 1강 Paraphrasing (0) | 2020.01.28 |